Quality 전략을 가장 체계화 시킨
Asness의 Quality Minus Junk 에서는
Quality 요소를 크게
수익성, 성장, 안전성, 지불금으로 구분합니다.
각 지표 별 세부 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.
| 
지표 | 
항목 | 
설명 | 
| 
수익성 | 
GPOA | 
매출총이익 / 총자산 | 
| 
ROE | 
순이익 / 자본 | |
| 
ROA | 
순이익 / 자산 | |
| 
CFOA | 
(순이익 + 감가상각비 -
  Δ운전자본 – CAPEX) / 자산 | |
| 
GMAR | 
매출총이익 / 매출액 | |
| 
ACC | 
-(Δ운전자본 + 감가상각비) / 자산 | |
| 
성장 | 
ΔGPOA | 
(매출총이익t – 매출총이익t-5) / 자산t-5 | 
| 
ΔROE | 
(순이익t – 순이익t-5) / 자본t-5 | |
| 
ΔROA | 
(순이익t – 순이익t-5) / 자산t-5 | |
| 
ΔCFOA | 
(CFt
  – CFt-5) / 자산t-5 | |
| 
ΔGMAR | 
(매출총이익t – 매출총이익t-5) / 매출액t-5 | |
| 
ΔACC | 
(Accrualst
  – Accrualst-5) / 자산t-5 | |
| 
안전성 | 
BaB | 
베타 | 
| 
IVOL | 
기업의 고유변동성 | |
| 
LEV | 
(장기 부채 + 단기 부채 + 소수주주지분 + 우선주) / 자산 | |
| 
O | 
Ohlson’s
  O-Score | |
| 
Z | 
Altman’s
  Z-Score | |
| 
EVOL | 
60
  분기 ROE의 변동성 혹은 5년 ROE의 변동성  | |
| 
지불금 | 
EISS | 
연간 발행주식수의
  변화 | 
| 
DISS | 
연간 부채의 변화 | |
| 
NPOP | 
 (순이익 – 장부가치의 변화)의 합 / 수익의
  5년 합계 | 
이 중 일반적으로 기업의 우량성으로 여겨지는
Profitability, Growth, Safety를 우량성으로 정의하여
테스트 합니다.
먼저 Profitability의 요소로는
1. 매출총이익 / 총자산
2. 영업활동현금흐름 / 총자산
3. 매출총이익 / 매출액
Growth 요소로는
1. 5년전 대비 매출총이익 / 자산 상승률
2. 5년전 대비 영업활동현금흐름 / 총자산 상승률
3. 5년전 대비 매출총이익 / 매출액 상승률
4. 전년 대비 매출액 / 총자산 상승률 (턴오버 상승률)
Safety 요소로는
1. 부채 / 자본 비율 (레버리지)
2. 5년간 매출총이익 / 총자산의 변동성
3. 5년간 영업활동현금흐름 / 총자산의 변동성
요소 간 결합 방법은 Asness의 논문과 같이
먼저, 각 항목별 랭킹을 매긴 후
랭킹의 z-score를 구합니다.
Quality 정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Asness의 논문과 같습니다.
먼저 각 항목 별 순위를 매긴 후,
매겨진 순위를 바탕으로 각 종목 별 z-score를 계산합니다.
그 후, 지표 내 모든 항목의 z-score를 합한 후,
합한 값들을 바탕으로 z-score를 다시 구해줍니다.
3개 항목의 z-score를 합친 값이
최종 Quality 정도입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
KOSPI 200 종목을 대상으로
회계 데이터의 래깅을 고려하여
매월 5월 초, 전년 회계 데이터를 이용하여
Quality 정도를 계산한 후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.
포트폴리오 내에서는 동일비중으로 투자하며,
1년 후 리밸런싱 합니다.
2001년 부터 2016년 까지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| 
1 | 
2 | 
3 | 
4 | 
5 | |
| 
누적 수익률 | 
9.7481 | 
10.2726 | 
7.1321 | 
4.0244 | 
0.9326 | 
| 
연율화 수익률 | 
0.1600 | 
0.1635 | 
0.1400 | 
0.1062 | 
0.0420 | 
| 
연율화 변동성 | 
0.2079 | 
0.2338 | 
0.2566 | 
0.2877 | 
0.3094 | 
| 
샤프지수 | 
0.7698 | 
0.6992 | 
0.5454 | 
0.3690 | 
0.1359 | 
| 
최대 손실율 | 
0.3915 | 
0.4823 | 
0.5310 | 
0.5894 | 
0.6104 | 
Quality 정도가 높을 수록,
수익 및 샤프지수가 높음이 확인됩니다.
각 세부 팩터별 통계값은 아래와 같습니다.
| 
Profitability | |||||
| 
1 | 
2 | 
3 | 
4 | 
5 | |
| 
누적 수익률 | 
9.2272 | 
8.2609 | 
5.9514 | 
4.7182 | 
1.5843 | 
| 
연율화 수익률 | 
0.1564 | 
0.1493 | 
0.1288 | 
0.1151 | 
0.0611 | 
| 
연율화 변동성 | 
0.1964 | 
0.2481 | 
0.2699 | 
0.2766 | 
0.3062 | 
| 
샤프지수 | 
0.7965 | 
0.6016 | 
0.4773 | 
0.4162 | 
0.1997 | 
| 
최대 손실율 | 
0.3568 | 
0.4919 | 
0.5754 | 
0.5971 | 
0.5669 | 
| 
Growth | |||||
| 
1 | 
2 | 
3 | 
4 | 
5 | |
| 
누적 수익률 | 
8.0972 | 
7.2664 | 
6.9332 | 
4.4702 | 
2.2707 | 
| 
연율화 수익률 | 
0.1480 | 
0.1411 | 
0.1382 | 
0.1121 | 
0.0769 | 
| 
연율화 변동성 | 
0.2423 | 
0.2536 | 
0.2554 | 
0.2495 | 
0.2774 | 
| 
샤프지수 | 
0.6108 | 
0.5565 | 
0.5410 | 
0.4491 | 
0.2772 | 
| 
최대 손실율 | 
0.5283 | 
0.5080 | 
0.5051 | 
0.4993 | 
0.5689 | 
| 
Safety | |||||
| 
1 | 
2 | 
3 | 
4 | 
5 | |
| 
누적 수익률 | 
8.7952 | 
10.1567 | 
5.2472 | 
6.3574 | 
1.0452 | 
| 
연율화 수익률 | 
0.1533 | 
0.1627 | 
0.1213 | 
0.1328 | 
0.0457 | 
| 
연율화 변동성 | 
0.2258 | 
0.2458 | 
0.2476 | 
0.2597 | 
0.3097 | 
| 
샤프지수 | 
0.6789 | 
0.6621 | 
0.4900 | 
0.5116 | 
0.1477 | 
| 
최대 손실율 | 
0.4238 | 
0.4867 | 
0.5170 | 
0.5436 | 
0.6170 | 
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다음은 팩터의 유의미성을 보기위해
Long-Short 포트폴리오를 테스트합니다.
역시나 매년 5월 초,
Quality 기준 상위 30% (Quality) 를 Long ,
하위 30% (Junk)를 Short 하는
무비용 포트폴리오를 테스트합니다.
QMJ Factor 및
Profitability, Growth, Safety 에 대한
Long-Short 포트폴리오를 모두 테스트합니다.
|  | 
| QMJ Factor | 
|  | 
| Profitability Factor | 
|  | 
| Growth Factor | 
|  | 
| Safety Factor | 
3가지 하부 팩터 및 이를 합친 QMJ 팩터 모두
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.
| 
QMJ | 
Profitability | 
Growth | 
safety | |
| 
QMJ | 
1.00 | |||
| 
Profitability | 
0.89 | 
1.00 | ||
| 
Growth | 
0.69 | 
0.58 | 
1.00 | |
| 
safety | 
0.73 | 
0.55 | 
0.31 | 
1.00 | 
각 팩터간 상관관계를 보면
Profitability 팩터가 QMJ와
가장 연관성이 높음이 보입니다.
Growth가 높으면 변동성이 높아져 Safety 가 낮아지는 만큼
Safety와 Growth는 상대적으로 낮습니다.
아래는 Long Short 포트폴리오의 통계값 및 
CAPM, FF 3팩터의 Alpha 및 t-value 입니다.
세부지표 및 QMJ 모두
유의미한 알파를 기록합니다.
| 
QMJ | 
Profitability | 
Growth | 
Safety | |
| 
누적 수익률 | 
2.0162 | 
0.5871 | 
0.6634 | 
1.2854 | 
| 
연율화 수익률 | 
0.0714 | 
0.0293 | 
0.0323 | 
0.0530 | 
| 
연율화 변동성 | 
0.1524 | 
0.1563 | 
0.1059 | 
0.1103 | 
| 
샤프지수 | 
0.4687 | 
0.1874 | 
0.3052 | 
0.4807 | 
| 
최대 손실율 | 
0.4104 | 
0.4984 | 
0.1871 | 
0.2018 | 
| 
CAPM Alpha | 
0.1212 
(3.6523) | 
0.0882 
(2.7381) | 
0.0467 
(1.7654) | 
0.0839 
(3.3681) | 
| 
FF Alpha | 
0.1569 
(4.8416) | 
0.1255 
(3.9659) | 
0.0829 
(3.2477) | 
0.0835 
(3.2873) | 
아래는 QMJ 팩터 및 KOSPI 200 의 연간수익률 비교입니다.
논문에서와 같이 시장이 급락하는 시기 (2008년, 2011년)
QMJ 팩터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합니다.
월간 수익률 기준
QMJ 팩터와 KOSPI 200 수익률의 상관관계도
-0.51 로써 굉장히 낮습니다.



 
안녕하세요 간단한 질문이 하나있습니다.
답글삭제(매출총이익t – 매출총이익t-5) / 자산t-5에서 t라는건 시점을 의미하는건가요?
즉 매출총이익 4분기 - 매출총이익 (4분기- 다섯 분기 이전 시점) 이런식인건가요?
T는 시점이고 년도 데이터 입니다
삭제